경제 뉴스나 투자 정보를 보다 보면 낯선 용어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하지만 경제 용어를 알면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투자 판단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지난번 글에 이이서 오늘도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생소할 수 있는 용어들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양적 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장에 직접 돈을 공급하여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입니다. 보통 국채나 회사채를 대량으로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금리가 이미 낮아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어려울 때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 완화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2.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경기가 침체되었는데도 물가가 계속 오르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 물가도 하락하는데,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이례적인 상황을 의미합니다.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3. 유동성 (Liquidity)
유동성이란 자산을 얼마나 쉽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은 즉시 거래할 수 있는 반면,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현금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은 비교적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며, 부동산은 유동성이 낮은 자산입니다.
4. 베어마켓 & 불마켓 (Bear Market & Bull Market)
- 베어마켓(Bear Market): 주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약세장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20% 이상 하락하면 베어마켓이라고 부릅니다.
- 불마켓(Bull Market): 주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강세장을 의미합니다.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때 나타납니다.
5.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OE=(순이익/자기자본)×100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높은 ROE는 기업이 주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낮은 ROE는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
6.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이익률)
ROA는 기업이 보유한 모든 자산을 활용하여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OA=(순이익/총자산)×100ROA = (순이익 / 총자산) × 100
ROA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7. CDS (Credit Default Swap, 신용부도스왑)
CDS는 채권이나 대출에 대한 일종의 보험 상품으로, 채무자가 부도를 내면 CDS를 보유한 투자자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위기 때 CDS의 중요성이 부각된 바 있습니다.
8. 경기 선행지수 & 경기 후행지수
- 경기 선행지수: 향후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로, 신규 수출 주문, 건축 허가 건수 등이 포함됩니다.
- 경기 후행지수: 경제 변화가 발생한 이후 뒤늦게 나타나는 지표로, 실업률, 기업의 부도율 등이 해당합니다.
9. 채권 금리와 국채 수익률 곡선
채권 금리는 채권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이자를 의미하며, 국채 수익률 곡선은 단기 국채와 장기 국채의 금리 차이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국채 금리가 단기 국채보다 높아야 정상적인 경제 상황이지만, 반대일 경우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됩니다.
10. 밸류에이션 (Valuation)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이 저평가되었는지, 고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PER, PBR, ROE 등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11. 서킷 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과열된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과도한 패닉 매도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합니다.
12. 버블 (Bubble)
자산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버블이 터지면 가격이 급락하며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이 있습니다.
마무리
경제 용어는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핵심 개념을 이해하면 뉴스나 투자 정보를 보다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도 소개한 용어들을 익혀두면 경제 흐름을 읽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